일본에서 문호와 알케미스트 플레이어가 사용하는 언어(속어)를 해설하는 페이지입니다.
공식용어 해설은 용어집을 참고해주세요.
어느정도 범위의 기간을 거쳐서 관찰한 것을 기록하고 있지만, 모든 사서 전원이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언어는 아닙니다.
사용 상태에는 지역차가 있는 등 발생한 뒤로 시간이 흘러 사어(死語)에 가까워진 것도 남아있습니다. 주의해주세요.
※2021년 7월 28일 대형 업데이트로 인해 폐지된 개념에 대해선 표제에 {}로 표시해뒀습니다.
Ctrl+F로 검색해주세요.
가
가상의 〇〇군 (イマジナリー〇〇君/いまじなりー〇〇くん)
덕후가 실장을 너무 바란 나머지 자기 뇌 안에서 독자적으로 연성해버린 문호를 가리킨다.
니코나마 등에서 발표된 관계자 발언이나 이미 실장된 캐릭터 대사에서 그 이후 등장이 추측 가능한 경우와 특별히 그런 게 전혀 없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너무나 실장을 열망한 나머지 집단환각으로 발전하는 경우가 있다. 전자의 예는 미시마 유키오(三島由紀夫)나 사토미 톤(里見弴) 등이 있다. 후자는 요코미조 마사시(横溝正史)나 단 카즈오(檀一雄)등이 있다.
그 외에 게임에 실장될 확률이 무척 적은 인물(글을 쓰는 직업을 가지고 있지 않은 가족이나 친구 등)이 연성되는 경우도 있다.
→뫄뫄군은 있어요!(하단으로 이동하는 링크인데 걍 제가 한국어처럼 바꿈)
가창(歌唱/かしょう)
수는 적지만 문호가 노래하는 보이스가 있는 회상도 가끔씩 있다.
나카자토 카이잔(中里介山)과 미야자와 켄지(宮沢賢治)의 유애서 회상(미야자키가 노래하는 「대보살 고개의 노래(大菩薩峠の歌)」), 니이미 난키치(新美南吉)과 미키 로후(三木露風)의 유애서 회상 (미키가 노래하는 「아기(赤とんぼ)」)등을 참고
갓파악어(カッパワニ/かっぱわに)
「악어갓파(わにかっぱ)」라고도 함.
제국 도서관 주변 저수지에서 발견되는 악어 같은 초록색 생명체.
첫 출현은 2017년 4월 1일 문호와 알케미스트 공식 트윗.
만우절 기획으로 발행된 제국 도서관 신문 속에 등장했다.
기사 안에서 목격자 A씨(※아쿠타가와 류노스케)는 「갓파(河童)」라고 하고, M씨(※미야자와 켄지)는 「악어(ワニ)」아니겠는가 코멘트를 남겼는데 그걸 본 유저들이 「갓파악어(かっぱわに)」나 「악어갓파(わにかっぱ)」라고 애칭을 붙였다고 추측된다. 그리고 비주얼은 이 제국 도서관 신문의 A씨가 제출한 일러스트를 기반으로 그려졌다.
이후 게임 내장이나 특효장상 일러스트 등에 숨겨진 요소(이스터에그)로 가끔 등장하게 되었다.
2018년 이후 만우절 주역처럼 취급되어 2019년에는 기어코 이벤트(イベント)까지 개최되었다.
2020년에 방송된 문애니(文アニ)에선 오프닝 화면에 숨김캐릭터로 등장하여 애니메이션 데뷔도 하고야 말았다.
「도서관 마당에 서식하는 생물 인형(図書館の庭に生息する生物のヌイグルミ)」을 필두로 비정기적으로 실제 굿즈화도 되고 있다.
다만 몇 번 굿즈화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정식 명칭은 불명이다.
그리고 2021년 K.P.명층으로 설마했던 플레이어블화(실장)
약 하루 반 정도 짧은 기간이었지만 중정뿐만 아니라 유애서 내부에서까지 소란을 일으키는 모습은 상당히 충격적.
대체 그(?)는 어디로 가는 걸까…….
게(カニ/かに)
갑각류. 다자이 오사무(太宰治)나 나카노 시게하루(中野重治)가 좋아하는 음식이며, 이와노 호우메이(岩野泡鳴)의 트라우마이기도 하다.
코바야시 타키지(小林多喜二)의 대표작이 『게 공선(蟹工船)』이라서 그의 무기나 의장등에 모티브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극조군(劇島くん/げきしまくん)
무대 「문호와 알케미스트」 제 2탄 「이단자의 왈츠(異端者ノ円舞(ワルツ))」에 나오는 아리시마 타케오(有島武郎)를 지칭하는 말. 해당 역을 맡은 배우는 스기야마 마히로(杉山真宏/すぎやままひろ)
당초, 게임 본연의 아리시마 타케오와는 대조적인 이상한 텐션의 캐릭터에 당혹감을 감추지 못한 사서가 속출했지만 공연이 계속되면서 결국엔 독자적인 인기를 얻어 최종적으로 부여된 애칭.
나
너는 천재야. 잔뜩 써줬음 한다고.(お前は天才だ、たくさん書いてほしいんだよ/おまえはてんさいだ、たくさんかいてほしいんだよ)
문애니(文アニ) 제 9화에 있는 단 카즈오(檀一雄)의 명언. 유래는 『소설 다자이 오사무(小説太宰治)』의 도입부이다.
특무사서끼리 대화할 때 상대방의 창작욕을 자극하기 위해 적당히 변형해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장르 불문 활용 가능한 편리한 문구.
냥됨(猫る/ねこる)
에러가 발생한 것을 일컫는다.
에러가 발생하면 구석에 고양이가 나와서 생겨난 말.
다
대혼(大魂/だいこん)
개화 재료・혼(大)를 말함. 「무(大根/다이콘)」라고도 한다.
「다이(大/대)」「콘(魂/혼)」을 붙여서 읽으면 「다이콘(ダイコン/무)」로 들려서 그렇게 부른다.
예전에는 통상 맵에 잠서하면 혼(대)를 하루 최대 10개까지 입수할 수 있는 「긴급임무 이벤트(緊急任務イベント)」가 달마다 몇 번 개최되었는데 그걸 「수확일(収穫日)」이나 「수확제(収穫祭)」라 부른 적도 있었다. (2018/04/15을 마지막으로 개최되지 않음)
더블 상(Wショー/だぶるしょー)
아쿠타가와 류노스케(芥川龍之介)와 나오키 산쥬고(直木三十五)를 말함.
양쪽 다 키쿠치 칸이 설립한 문학상에 이름이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생겨난 말이다.
상세한 내용은 아쿠타가와와 나오키의 유애서 회상을 참고하길.
데일리 80(デイリー80/でいりーはちじゅう)
80 DMMP(또는 제국권)을 사용하여 그 날 첫 단챠(소장)을 돌리는 것을 말한다.
유상 가챠는 통상 1회 300DMMP(제국권)이 필요하지만 2019/09/20부터 매일 첫 단챠는 할인해주는 방침으로 변경되었다. 이후 비교적 가볍게 과금하는 요소로서 이용되고 있다.
{도구마구(ドグマグ/どぐまぐ)}
유애서 「치」단의 스테이지 「도구라 마구라(ドグラ・マグラ)」를 말함.
칼 4명 편성으로 보스마스까지 도착할 확률이 현저하게 떨어져 사서들을 마구 울려버리는 스테이지.
한편 샛길로 빠지는 걸 이용해서 레벨링에 쓰기도 한다.
도플가와(ドペ川/どぺがわ)
문애니(文アニ) 등장인물 중 한 명. 호칭의 어감과 달리 이야기의 열쇠를 쥐고 있는 주요인물이다.
이하 애니 스포라서 접음글임.
어원은 「도플갱어+아쿠타가와」 그 정체는 생전의 아쿠타가와가 창작의 고통 속에서 만들어낸 상상 속 친구 같은 것이었다. 원래라면 아쿠타가와가 자살 했을 때 소멸해야 했는데 침식자와 계약함으로써 실체를 얻어 아쿠타가와인 척을 하며 도서관에서 살아가게 되었다. (다만 도플가와 자신도 도중까지는 기억상실 상태였어서 자신이 아쿠타가와 본인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최종적으로는 뒤늦게 전생한 찐아쿠타가와에 의해 정화된다.
이름에 관해선 극본상에는 「아쿠타(アクタ)」로 적혀있었다고 한다. 애니가 끝난 뒤에 극본가 쿠마가이 준(熊谷純)씨에 의해 밝혀졌다.(2020/08/08의 트위터에서) 그래서 「아쿠타(アクタ)」라고 불리기도 한다.
동화조(童話組/どうわぐみ)
미야자와 켄지(宮沢賢治), 니이미 난키치(新美南吉), 오가와 미메이(小川未明), 스즈키 미에키치(鈴木三重吉)의 총칭
아동 문학에 공적을 남겨, 소년의 모습으로 실장된 총문호들.
당초엔 미야자키와 니이미 2인 체제였다. 2018/05/09에 오가와가 실장되어 3명이 되더니, 2020/12/09에 스즈키가 더해져 총 4명이 되었다.
뒷사람씨(裏くん/うらくん)
나카지마 아츠시(中島敦)의 또 다른 인격을 말함.
대부분의 문호는 평상시(表/직역하면 '앞'인데 부자연스러워서 의역함)와 전투시(裏/직역하면 '뒤'인데 부자연스러워서 의역함)에 나오는 다른 인격이라고 이해하고 있지만, 요시카와 에이지(吉川英治)만 전투시 인격을 단순히 평상시 아츠시가 기합이 잔뜩 들어간 모습이라고 생각하고 있다는 설정이 있음.
자세한 내용은 산월기 이벤트(山月記イベント)의 회상을 참고.
라
러부뢰이파(ラブライハー/らぶらいはー)
파벌 「무뢰파(無頼派)」를 좋아하는 사서를 말한다. 「Love+Buraiha(무뢰파 일본어 발음 그대로 쓴 것. 부레이하)」에서 생겨난 말.
여성 아이돌 그룹을 주제로 한 유명한 모 미디어믹스(X브X이브) 작품에서 연상된 단어라고 생각된다.
레몬(レモン/れもん)
과일 2탄. 카지이 모토지로(梶井基次郎)・타카무라 코타로(高村光太郎)의 작품에 등장한다.
문알케에 있어선 이 두명이 레몬의 이미지를 공유하고 있는 점에서 착안하여 식당회상(레몬젤리)가 실장되어있다.
로스제네(ロスジェネ/ろすじぇね)
로스트・제너레이션의 약어. 미국 문호 중 피츠제럴드(フィッツジェラルド)와 헤밍웨이(ヘミングウェイ)를 가리킨다.
마
맹우(盟友/めいゆう)
카와바타 야스나리(川端康成)와 요코미츠 리이치(横光利一)를 말함. 또한 외우(畏友)와는 다른 개념이다.
명성(明星/みょうじょう)
문예잡지 『명성(明星)』에 참가했던 총 문호 키타하라 하쿠슈(北原白秋), 이시카와 타쿠보쿠(石川啄木), 타카무라 코타로(高村光太郎), 요시이 이사무(吉井勇)의 총칭. 모두 같은 장식을 달고 있다.
당초엔 키타하라・이시카와・타카무라 3인 체제였다. 2018/12/12에 요시이가 추가되어 총 4명이 됐다.
달과 별을 본따 만든 장식은 2017년 10월부터 2018년 9월까지 DMM.make에서 펜던트 모양으로 판매된 적도 있다.
무샤(ムシャ/むしゃ)
무샤노코지 사네아츠(武者小路実篤)를 말함.
문극(文劇/ぶんげき)
무대 「문호와 알케미스트」의 약칭.
2019년 2월 ~ 3월에 제 1탄 「애물단지의 엘레지(余計者ノ挽歌(エレジー))」를 시작으로, 2019년 12월 ~ 2020년 1월에 제 2탄 「이단자의 왈츠(異端者ノ円舞(ワルツ))」, 2020년 9월에 제 3탄 「글쟁이의 카논(? 맞는가 몰겠네요/綴リ人ノ輪唱(カノン))」이 상연되었다.
문애니(文アニ/ぶんあに)
TV 애니메이션「문호와 알케미스트 ~심판의 톱니바퀴~」의 약칭
2020년 4월 3일 심야(4월 4일 01:23~)부터 방송 개시. 코로나19 바이러스 유행이 제작에 영향을 미쳐 4월 24일과 5월 1일은 각각 제 2화・제 3화가 재방송 되었다. 6월 5일부터 6월 26일까지는 방송이 중지되었다. 연재 도중 2번의 방송 중지를 하는 등 우여곡절은 있었지만 8월 7일에 총 13화로 완결을 내었다.
문진(文鎮/ぶんちん)
공식 굿즈 「아크릴 미니 피규어」를 말함. 「아크릴 문진」이라고도 함.
개화 의장 버전 (2018년 11월 대시스토어 판매)과 여름 축제 의장 버전 (2019년 여름 애니메이트 온라인샵에서 판매)이 있다.
사이즈나 중량감이 작은 사이즈의 문진을 떠올리게 해서 그런 애칭이 붙었다고 생각하지만, 단어 선택에 장르의 개성을 나타내는 것이라고도 생각된다.
문호와 위꼴테러리스트(文豪と飯テロリスト/ぶんごうとめしてろりすと)
위꼴테러와 알케미스트(飯テロとアルケミスト)와 같은 말.
이름을 붙인 건 2016-12-11 (일) 18:22:08에 잡담게시판(雑談掲示板)에 쓴 사람.
미탐미(みたんび)
미타파(三田派)+탐미주의(耽美主義). 특히 초기 실장 캐릭터인 나가이 가후(永井荷風), 타니자키 준이치로(谷崎潤一郎), 사토 하루오(佐藤春夫) 이 세 명을 칭한다.
바
보(坊/ぼう)/랭보(ラン坊/らんぼう)
아르튀르 랭보(アルチュール・ランボー)를 말함.
역주의 주석: 일본어로 보(坊)는 도련님을 말합니다... 봇쨔마! 하는 그런 집사 캐릭터 종종 보셨을 거 같은데 그때 말하는 봇쨔마!가 坊っちゃま!예요 아르튀르 랭보의 일본어로 이름 발음하는 게 보오~ 하고 길게 늘어지다보니 자연스럽게 도련님을 뜻하는 坊(ぼう)를 떠올리게 하거든요... 적절하진 않지만 한국어로 언어유희하듯이 말하자면 랭보자기라고 하는 느낌이랄까요....랭보 캐릭터도 캐릭터니만큼 아마 애기 놀리듯이 부르는 경우가 많을 것 같은데 암턴 대충 어떤 뉘앙스이신지 와닿으셨다면 좋겠습니다.
보행님(ボニキ/ぼにき/보니키)
샤를 보들레르(シャルル・ボードレール)를 말함.
봇상(ぼっさん)
와카야마 보쿠스이(若山牧水)를 말함. 이시카와 타쿠보쿠가 부르는 호칭에서 따옴.
봇쿠리(ぼっくり)
이시카와 타쿠보쿠(石川啄木)를 칭함. 타쿠보쿠(たくぼく)→타쿠봇쿠리(たくぼっくり)→봇쿠리(ぼっくり)의 순서로 변화했다고 보여짐.
사
사과(りんご)
과일. 미야자와 켄지(宮沢賢治)・시마자키 도손(島崎藤村)・키타하라 하쿠슈(北原白秋)등의 작품에 등장한다. 또한 이와노 호우메이(岩野泡鳴)의 사인 중 일부분이기도 하다.
2005년에 품종 등록된 카네자와산 사과 「추성슈세이(秋星しゅうせい)」의 이름의 유래는 토쿠다 슈세이(徳田秋声)이다.
나가이 가후(永井荷風)의 일기에선 가을에서 겨울에 걸쳐 「화로에서 사과를 삶아 잼을 만든다」고 하는 기록이 여기저기서 발견되는 것으로 보아 (사과)철을 기대하고 있었다는 걸 엿볼 수 있다.
그 외에도 카지이 모토지로(梶井基次郎)가 카와바타 야스나리(川端康成)의 부인에게서 받은 사과를 잘 닦아서 상좌(*일본 거실에 족자를 달거나 암튼 한 단 높게 되어있어 장식해두는 공간)에 장식해두었는데, 그걸 다음날 미요시 타츠지(三好達治)가 발견하더니 덥썩 베어 먹어서 아무 말도 안 하고 미요시의 머리를 때렸다는 에피소드 등이 유명하다.
사서님(お司書/おししょ)
특무 사서. 즉, 플레이어를 말함.
오다 사쿠노스케(織田作之助)가 특무사서를 「오시쇼항(おっしょはん=お司書はん)」이라고 부르는 것에서 유래.
사실(史実/しじつ)
※충실(忠実/ちゅうじつ)이 아님
문호는 책의 세계에서 전생하기 때문에 작가의 저작이나 생전의 인격, 교우관계 등의 정보를 어느정도 가지고 있지만, 이것들을 온전히 가지고 있는 게 아니라 각자 (정보에) 구멍이 나있거나 편중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서비스 개시 당시 튜토리얼의 「카와바타 야스나리를 떠올리지 못하는 토쿠다 슈세이」을 묘사함으로써 단적으로 보여주었고, 그 외에도 생전의 교우관계가 도서관 내의 교류에 그닥 반영되지 않은 조합이 발견되기도 한다.(추후 회상에서 보완될 가능성은 있음)
그리고 도서관에선 생전 교류가 없던 작가와도 만나기 때문에 게임 내 독자적인 새로운 인간관계가 구축되어 본래 관계가 있는 사람들끼리일지라도 「저작을 잃어버렸다(著作が失われた)」등 게임 자체 설정에 따라 일반적으로 알려진 사실(史実)과는 관계성이 변화(극단적은 경우엔 반전)하는 경우도 있다. 전자의 예로선 에도가와 란포(江戸川乱歩)와 나카지마 아츠시(中島敦)나 니이미 난키치(新美南吉), 마사무네 하쿠쵸(正宗白鳥)와 유메노 큐사쿠(夢野久作)등이 있고, 후자의 예로서 키타무라 토코쿠(北村透谷)와 시마자키 도손(島崎藤村), 톨스토이(トルストイ)와 도스토옙스키(ドストエフスキー)등이 있다.
{사채고 챌린지(借金苦チャレンジ/しゃっきんくちゃれんじ)}
레어를 뽑기 위해서 사채왕・이시카와 타쿠보쿠(石川啄木)를 유혼서에 잠서시키는 것을 말한다.
그를 잠서 시키면 레어가 나오기 쉽다는 소문이 퍼지면서부터 일부 사서들 사이에서 그렇게 불리게 되었다.
(「사채고(借金苦)」는 그의 대사 「보여주마!필살!사채고(借金苦)!」에서 유래되었다.)
좁은 의미로는 「사용 잉크(使用洋墨) 400 / 책갈피 없음(栞無し)」의 조건도 추가 된다.
여기서 파생되어 잠서시키면 레어가 잘 나온다고 믿고 있는 특정 문호를 유혼서에 잠서시키는 것을 「○○챌린지」(○○에는 잠서시키는 문호와 연관된 고유명사가 들어감)라고 한다.
역주의 주석: 사채고(借金苦)란... 생활고(生活苦)처럼 사채를 넘 땡겨써서 갚기도 어려워서 맨날 쫓겨다니면서 고생하고 어쩌고 하는 여러분이 상상하실 수 있는 그 고난과 역경을 겪는 것을 말합니다.
사토이치(さといち)
사토 일문(佐藤一門)을 칭함.
사토 하루오(佐藤春夫), 이부세 마스지(井伏鱒二), 다자이 오사무(太宰治), 단 카즈오(檀一雄) 이 네 명을 말함.
{생활 보호(生活保護/せいかつほご)}
재료 보유 최대치.
보유 최대치까지 시간 경과로(따로 플레이 하지 않더라도) 잉크/식량이 배급되는 것에서 따왔다.
역주의 주석: 생활 보호라고 써서 그렇지 우리나라로 치면 기초 생활 수급 같은 걸 말하는 겁니다.
서민파(庶民派/しょみんは)
토쿠다 슈세이(徳田秋声)와 오다 사쿠노스케(織田作之助)를 말함. 식당에서 말하는 대사에서 따옴.
초기 캐릭터 두 명의 대사가 겹치는 것을 재밌어한 사서들이 이름 붙였는데, 게임 내에서 이 두 명의 접점이 특별히 많은 것도 아니라서 긴 시간 개념적인 존재로써 넓고 얕은 단순 애칭에 지나지 않았다.
2020년 오다 사쿠노스케(織田作之助)의 생일 특별 회상에서 이 두 사람이 포함된 「서민파 모임(庶民派会)」이라는 그룹이 제시된 것으로 인해 서비스 개시 4년만에 돌연 실체를 가진 존재라는 게 판명되었다.(는 개뿔 아마 유저들이 부르는 거 보고 드므므에서 실장했을 거다)
수달군(カワウソ君/かわうそくん)
「갓파악어(かっぱわに)」의 다음해 등장한 도서관 정체불명의 생명체 2호.
첫 등장은 2018년 4월 1일 문호와 알케미스트 공식 트윗. 만우절용으로 만들어진 가공의 영화 포스터(타이틀은 「KAPPA(갓파)」)의 우측 하단에 작은 글씨로 「동시 상영 수달군의 도서관 대모험(同時上映 カワウソ君のとしょかん大冒険)」이라고 이름과 비주얼이 같이 투고 되엇다. 이후 「갓파악어(かっぱわに)」와 동일하게 리얼 굿즈화 되거나 게임 내 일부 내장에 숨김캐릭터로서 등장하게 되었다.
아쿠타가와 류노스케(芥川龍之介)의 소설 『갓파(河童)』에서 수달(獺/かわうそ)이 갓파의 적으로써 그려진 점에서 당초에는 「수달군(カワウソ君)」도 「갓파악어(かっぱわに)」와 모종의 대립관계이지 않을까 추측하는 사람도 있었지만 몇 년 지난 지금도 딱히 그런 움직임은 없고 여전히 위치나 뭐다 수수께끼 그 자체인 상태로 있다.
수는 적지만 2019년 만우절 이벤트 「만우절「우주에서 온 초록색의 사자」(万愚節「宇宙から来た緑の使者」)」에서 보스캐릭터로써 등장했고, 또 2021년 4월 상반기 이벤트 악어타로의 모험(ワニ太郎の冒険)의 회상에서 악어타로(ワニ太郎=かっぱわに=갓파악어)에 대적하는 「영혼(鬼)」으로써 등장한 적도 있다.
스카프 머리끈(スカーフヘアゴム/すかーふへあごむ)
문극2 공식 굿즈. 각 캐릭터 의장에서 모티브를 따와 액세서리로 만들었다.
매 공연마다 바로바로 완판 되었는데, SNS상에서 「스카프 머리끈 완판」이라는 말이 탐라를 장악할 정도로 인기상품이었다.
약 반 년 뒤 다른 굿즈와 같이 주문 생산 형식으로 재판했다.
시게시(しげじ)
나카노 시게하루(中野重治)를 말함.
신(神様/かみさま)
「소설의 신(小説の神様)」과 「문학의 신(文学の神様)」이 있다.
전자는 시가 나오야(志賀直哉), 후자는 요코미츠 리이치(横光利一)를 말함. 둘 다 생전 실제로 그렇게 불려서 사서들도 그렇게 부른다.
참고로 단순히 「신(神様)」이라고 말하는 경우엔 시가를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싯가(シッガ/しっが)
시가 나오야(志賀直哉)를 말함.
{쌀소동(米騒動/こめそうどう)}
게임 릴리즈 직후 재료 입수 수단이 매우 적었기에 식량이 금방 동나 식량부족에 시달리는 사서가 속출했던 사건을 일컫는다.
현재는 배급제도나 임무 증가 덕분에 소동에 이를 정도의 식량 부족은 해소되었다.
첫 출연은 세계관 감수를 담당하는 이시이지로우(イシイジロウ)씨가 2016년 11월 5일 공식 니코나마 생방#2에서 발언한 것.
쌍벽(双璧/そうへき)
타카하마 쿄시(高浜虚子)와 카와히가시 헤키고토(河東碧梧桐)를 칭함. 같이 「시키 문하의 쌍벽(子規門下の双璧)」이라 불렸던 것에서 유래한다.
써방(検索よけ/けんさくよけ)
Twitter 등의 SNS에서 캐릭터를 본명(풀네임)이 아니라 애칭이나 이니셜 또는 이모티콘으로 표기하는 것.
어떤 작가명을 검색할 때 검색 결과에 캐릭터와 현실 인물이 섞여서 나오는 걸 막기 위한 배려라고 본다.
(※어디까지나 각 유저의 자유행동이므로 써방을 하든 안 하든 그건 그 개인의 선택임.)
아
아!(ァ!/あ!)
야마다 비묘(山田美妙)를 말함. 어원은 『TRICK』의 야마다 나오코인듯(가설 有)
실장 당시 이전엔 없던 자유분방한 캐릭터에 사서들이 거는 딴지가 따라가지 못했다. 강렬한 인상에 어휘력을 잃은 이들이「야마다아!(山田ァ!)」라고 소리치는 것 외엔 어떤 리액션도 할 수 없는 상황이 이어져 최종적으로 「아!(ァ!)」까지 축약되었던 게 애칭으로 정착되었다.
아저씨(オジサン/おじさん)
이부세 마스지(井伏鱒二)를 말함. 캐릭터가 직접 뱉는 대사에서 따옴.
근데 담당 성우인 타케우치 슌스케(武内駿輔)는 지금까지 실장된 성우진 중에서 제일 나이가 어림.
{아쿠타가와 상 챌린지(芥川賞チャレンジ/あくたがわしょうちゃれんじ)}
아쿠타가와 류노스케(芥川龍之介)를 노려 다자이 오사무(太宰治)를 유혼서에 잠서시키는 일을 말함.
다자이는 아쿠타가와상의 심사위원이었던 사토 하루오(佐藤春夫)나 카와바타 야스나리(川端康成)에게 「아쿠타가와 상을 주세요」라는 내용의 편지를 보내는 등 아쿠타가와상에 대한 강한 집념(아니 뭐 이건 집착이라고밖에)이 있던 것에서 시작되었다.
참고로 다자이는 아쿠타가와 상을 수상하지 못했다.
악어(ワニ/わに)
「갓파악어(かっぱわに)」「악어갓파(わにかっぱ)」와 같은 말.
도서관 중정을 산책하다 발견한 문호가 다수 있다고 한다.
긴 시간 중정에서 악어의 소문에 대한 이야기를 했던 건 오다와 사카구치 두 사람 뿐이었지만 2020/09/23에 도스토옙스키(ドストエフスキー)가 오랜만에 추가되었다. (와니라는) 그 이름도 「악어(鰐)」라는 제목의 작품을 썼기 때문은 아닐까 추측하고 있다. 그 이후에 헤밍웨이(ヘミングウェイ)나 코난 도일(コナン・ドイル)등도 각자 그럴듯한 소문을 말할 때가 있다.
악어갓파(わにかっぱ)
[가] 카테고리의 갓파악어(かっぱわに)를 참고.
양갱(羊羹/ようかん)
과자(甘味) 2탄. 나츠메 소세키(夏目漱石)를 필두로 문호들 사이에서도 좋아하는 사람이 많으며 그래서 일화도 많다.
그 단편은 문호끼리 편지(手紙)나 식당회상(食堂回想)에서 종종 볼 수 있다.
얼굴 천재 (顔のいい天才/かおのいいてんさい)
2019년에 발표된 공식 노벨라이즈 작품 제 1탄 『얼굴 없는 천재(顔のない天才)』를 말함. 저자는 카와바타 준이치(河端ジュン一) 선생님.
주인공이 아쿠타가와 류노스케(芥川龍之介)(잘생긴 전생 문호의 대표적 존재)였기 때문에. 또한 책의 띠지를 3cm정도 위로 올리면 실제로 「얼굴 천재(顔のいい天才)」로 보였기 때문에.
오다사쿠(オダサク/おださく)
오다 사쿠노스케(織田作之助)를 말함.
오다와라(小田原/おだわら)
특별한 첨언이 없는 한 미요시 타츠지(三好達治)와 사카구치 안고(坂口安吾)를 말함. 1940년 당시 사카구치가 오다와라에 살았을 때 미요시에게 권유 받아 미요시가(三好家) 근방에 이사하여 살았던 것에서 유래.
이외에도 타니자키 준이치로(谷崎潤一郎)와 사토 하루오(佐藤春夫) 사이에서 일어났던 「오다와라 사건(小田原事件)」을 나타내기도 함.
오란 포(オラン・ポー/おらん・ぽー)
에드거 앨런 포(エドガー・アラン・ポー)를 전생시키지 못한 도서관을 말함. 또는 포가 전생하지 않은 상태 그 자체를 가리킴.
포 실장 때 시행 횟수 상한(흔히 말하는 천장)이 없어 전생시키지 못하고 절망한 사서가 많았기 때문에 생겨난 말.
역주의 주석: 에드거 앨런 포가 일본어 발음대로 말하면 '에도가 아란 포-'인데 여기서 아란과 발음이 비슷한 오란(おらん/오사카 사투리로 없다는 말)으로 바꿔서 '오란 포-' 라고 하는 것. 한국식으로 적절하게 패치하면 '나만 없어 에드거 앨런 포'나 '에드거 앨런 포기' 정도... 아님 '에바 포'도 괜찮을지도(죄다 역주 창작임)
오하기(おはぎ)
과자(甘味). 코바야시 타키지(小林多喜二)가 좋아하는 것이며, 무샤노코지 사네아츠(武者小路実篤)의 유소년기의 별명이기도 하다.
역주의 주석: 오하기는 일본에서 찹쌀떡에 단팥으로 감싼 떡을 말합니다. 짱 달다고는 하는데 저는 못 먹어 봤어요. 참고하시라고 더보기에 사진 첨부함.
외우(畏友/いゆう)
나츠메 소세키(夏目漱石)와 마사오카 시키(正岡子規)의 관계를 말함. 또한 맹우(盟友)와는 다른 개념이다.
욧카와 선생님(よっかわ先生/よっかわせんせい)
요시카와 에이지(吉川英治)를 말함.
위꼴테러와 알케미스트(飯テロとアルケミスト/めしてろとあるけみすと)
2016/12/7의 업데이트로 식당에 식단이 실장되었다. 근데 일러 퀄에 너무나 힘을 준 바람에 공복에 위장 테러를 받은 사서들이 속출해서 생겨난 말. 걍 타이틀 밥알케로 해도 되지 않냐
![]() |
또한, 설마했는데 DMM 공식 광고 아이콘마저 카츠동 일러가 되어버려서, 다른 게임의 캐릭터 아이콘과 같이 놓여있는 모습은 정말 가관이고 장관이다. |
그리고 마침내 2017/04/28의 어플판 사전 등록 개시와 함께 공식 트위터에서 「저녁밥의 알케미스트(夕飯のアルケミスト)」에 해당하는 서비스를 공개했다.
4개의 질문에 답하면 식단표 안에서 오늘 밤 저녁을 제안해주는 것이었다. 대체 어디로 가는 거냐
심지어 그날에 트위터 실트에도 올라가버려서 문알케를 모르는 사람들에게도 위장테러 하는 모습이 까발려졌다.
참고로 이 이름을 붙인 건 2016-12-10 (토) 10:37:25의 잡담게시판(雑談掲示板)에 작성한 글이다.
2018/02/02에는 이 식단표를 포함한 음식 관련 에피소드 책(食ネタ本)도 발매되었다. 타이틀은 『문호와 알케미스트 밥책(文豪とアルケミスト ごはん帖)』
유메큐(ゆめきゅ)/몽큐(夢Q/ゆめきゅ)
유메노 큐사쿠(夢野久作)를 말함.
의자(椅子/いす)
어떤 이들에게는 우정의 상징 또는 무기의 한 종류.
자세한 것은 중앙정 소동 사건(中央亭騒動事件)을 참고.
이모부님(おじさま)
무로 사이세이(室生犀星)를 말함.
어려보이는 것을 강조한 캐릭터이지만 가끔 뜬금없이 연장자 무드를 발동하는 것에서 파생된 말. 이 갭이 발생한 것을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음. 어원은 『꿀의 정취(蜜のあわれ)_무로 사이세이 저작』에서 따옴.
{이불(オフトゥン/おふとぅん)}
유애서 「니」단에 있는 스테이지 「이불(蒲団)」을 말함.
「하」단을 돌파할 정도의 역량을 가진 문호들의 레벨링에 애용되어 「하」단의 「아라쿠레(あらくれ)」 때문에 난폭하게 변한 특무사서의 마음을 따뜻하게 감싸준다.
루트 고정이 가능하고 대전수를 벌기 쉬워 재료 수급 밸런스도 괜찮기 때문에 사용하기 편리하다.
빠져나가고 싶어도 좀처럼 빠져나갈 수 없다니 정말 이불과 닮지 않았나.
{이불 다이빙(お蒲団ダイブ/ふとんだいぶ)}
유애서 「니」단에 있는 스테이지 「이불(蒲団)」에 잠서하는 것을 말함.
이와테조(岩手組/いわてぐみ)
이와테와 관련이 있는 문호들. 즉, 이와테 출신인 미야자와 켄지(宮沢賢治)와 이시카와 타쿠보쿠(石川啄木)에 더해 두 사람 각각 따로 관계가 있고 이와테에 살았던 적이 있는 타카무라 코타로(高村光太郎)를 가리킨다.
이혼(二魂/にこん)
하기와라 사쿠타로(萩原朔太郎)와 무로 사이세이(室生犀星)를 칭함. 무로 사이세이의 『사랑의 시집(愛の詩集)』에 수록된 시편 「하기와라에게 보내는 시(萩原に与へたる詩)」에 등장하는 「이혼일체(二魂一体)」라는 구절에서 유래했다.
자
자연활(自然弓/しぜんゆみ)
화제 자연주의(和製自然主義)에 분류되는 문호를 말함. 주로 나가이 가후(永井荷風)와 요한 볼프강 폰 괴테(ゲーテ)이외의 활 문호를 가리킨다.
사이가 좋았던 사실(史実)이 반영된 건지 게임 내에서 남고생(DK風)스러운 행동을 하는 경우가 많다. 이벤트에서 다같이 모여 교복을 믿는다거나 베게 싸움을 한다거나 그런 식.
특히 초기 실장조(初期実装組/시마자키(島崎), 타야마(田山), 쿠니키다(国木田), 토쿠다(徳田))에 관해선, 이를 집대성한 이벤트로써 키타무라 토코쿠(北村透谷)실장 당시 개최 된 문학계이벤트(文學界イベント)가 있다.
자전거(自転車/じてんしゃ)
탈 수 있는 문호와 탈 수 없는 문호가 있다.(당연한 말을 하네)
탈 수 있는 문호 대표는 시가 나오야(志賀直哉)
자전거가 보급된 시기가 마침 근대 문학 작가들이 활약한 시기와 겹쳐서
나츠메 소세키(夏目漱石)나 하기와라 사쿠타로(萩原朔太郎)등 직접 자전거 연습에 고심하는 모습을 작품화 한 이도 있다.그 외에 나가이 가후(永井荷風)가 미국 유학 당시에 썼던 일기에도 자전거를 타고 교외까지 멀리 나갔던 걸 적어두었다.
제왕(帝王/ていおう)
「우주의 제왕」과 「정신계의 제왕」이 있다. 전자는 이와노 호우메이(岩野泡鳴), 후자는 시마다 세이지로(島田清次郎).
밈처럼 보이기는 하는데 양쪽 다 작가 본인의 대사에서 유래한 칭호이다.
{주먹밥(おにぎり)}
재료 「식량(食糧)」을 지칭하는 말. 주먹밥 아이콘으로 표시되어서 그렇게 부름.
또한 2016/12/07에 식단이 실장되기 전에는 실제로 식당에서 주먹밥만 제공 되었기 때문에 그렇게 부르게 되었다.
에도가와 란포(江戸川乱歩)의 「밥을 파란색으로 염색해두었어요(ごはんを青色にしておきました)」라는 식당 대사가 있었는데, 그 당시 식당에서 파란색으로 물든 주먹밥의 환각을 보는 사서들이 끊이지 않았다. 게다가 그 환각은 2018년 6・7월에 개최된 「문호와 알케미스트x스위츠 파라다이스 콜라보 카페(文豪とアルケミスト×スイーツパラダイスコラボカフェ)」에서 실체화 되었다.
중앙정 소동 사건(中央亭騒動事件/ちゅうおうていそうどうじけん)
1926년(다이쇼(大正) 15년) 5월 11일, 시인들의 회합에서 오카모토 준(岡本潤)이 하기와라 사쿠타로(萩原朔太郎)에게 시비를 걸어 말싸움을 하고 있던 것을 하기와라가 폭행당한다고 착각한 무로 사이세이(室生犀星)가 의자를 휘두르며 구해주러 간 사건을 말한다. 이 이야기는 하기와라에 의해 잡지 「일본시인(日本詩人)」에 발표되어 이 타이틀에서 「중앙정 소동 사건(中央亭騒動事件)」으로서 알려지게 되었다. 이후 이 이야기를 알게 된 아쿠타가와 류노스케(芥川龍之介)가 「경애하는 무로 사이세이여 의자를 휘둘러 의자를 휘둘러 (敬愛する室生犀星よ 椅子をふりまはせ 椅子をふりまはせ)」라고 무로에게 편지를 보낸 것도 유명하다.
이 「의자를 휘두르는 무로 사이세이」는 서비스 개시 당시부터 회상이나 편지에 고증되어 있기 때문에 사서들 사이에 이미 어느정도 알려져 있었지만 2020년에 나온 문애니나 그에 따른 소장이벤트, 문극3 등을 통해 단기간 반복해서 다뤄짐으로써 명백하게 「밈」으로 정착해버린 감이 있다.
참고로 이때의 무로의 감상은 「시인의 이별(詩人のわかれ)」등에서 간략하게 서술되어 있다.
지옥(地獄/じごく)
사서들의 필드.
어원은 아쿠타가와 류노스케(芥川龍之介)의 『미천한 자의 말(侏儒の言葉)』에 나오는 「인생은 지옥보다도 지옥적이다(人生は地獄よりも地獄的である)」
문애니나 문극3 같은 스핀오프 작품이 연속하여 혹독한 전개가 펼치는 것에서 그 가혹함을 나타내는 표현으로써 또는 그걸 보고 「괴로워(しんどい)」「힘들어(つらい)」라고 말하는 사서들의 심정을 표현한 것으로 많이 애용하게 된 말.
차
차를 내다(お茶を出す/おちゃをだす)
산책(散策)에서 신뢰도 +1을 하기 위해 문호에게 음료(차)를 주는 것을 말함.
금화를 필요로 하지 않아서 부담이 없지만 차만 주면서 신뢰도를 최대까지 올리려면 한 사람당 200일이 걸린다.
청공문고(青空文庫/あおぞらぶんこ)
인터넷 도서관.
문알케에 등장하는 작가의 작품 대부분은 이미 저작권이 만료되어 대표작 대부분은 청공문고에서 자유롭게 읽을 수 있다.(물론 일본 원어로^^) 이 도서관에서 제공하는 파일은 링크를 첨부하는 것만 잊지 않는다면 어디든 사용해도 되기 때문에, 최애 작가 영업에 딱 좋아 릴리즈 당시부터 편리하게 이용해왔다.
사서들 사이에서 종종 화제가 되는 저작군(著作群)에는 마이너한 작품이나 서한(書簡)등도 포함되어 있기에 그 중 청공문고에 미수록된 작품을 사서들이 입력・교정하여 영업할 수 있는 수단을 늘리자는 움직임이 2017년부터 생겨났다. 어디까지나 개인 단위의 봉사활동이기 때문에 모든 작가의 작품이 총망라 되진 않았지만 몇몇 작가에 한해선 어느정도 성과를 보이고 있다.
청색(青色/あおいろ)
특정 조건 아래에서 에도가와 란포(江戸川乱歩)가 관여된 것을 나타내는 색.
치에코상(智恵子/ちえこさん)
사실(史実)에 따르면 타카무라 코타로(高村光太郎)의 부인
부인을 향한 애정이 주제인 『치에코쇼(智恵子抄)』는 시인 타카무라 코타로의 대표작이기도 하며 게임 내에서도 특정 유애서를 통해 등장하고 있지만, 정작 타카무라 대사 중에 부인이 언급되는 것은 없다.
이 때문에 그가 생전 부인의 기억을 가지고 있는지 아닌지가 긴 시간 수수께끼에 싸인 상태였으며, 이게 플레이어들의 관심거리이기도 했다.
문알케가 여성향 게임이다보니 타카무라 드림러(플레이어 자신 또는 플레이어가 창작한 캐릭터와 타카무라 사이에서 연애 에피소드를 창작・공상하며 즐기는 사람들)가 당연히 존재하기 때문에 그들 사이에선 이 상태에서 치에코의 존재를 어떻게 다뤄야하는가 관해 논란이 일어난 적도 있었다.
물론 다른 문호들도 부인이나 연인, 불륜녀가 있던 사람이 많고, 그 여성과의 생활을 작품화한 자도 있지만 대부분은 그 여성의 존재를 문제시 하지 않기 때문에 타카무라와 치에코상은 다소 특수한 입장이라고 볼 수 있겠다.
(참고로 타카무라가 치에코상의 기억을 가지고 있는가 대해선 2020년 2월에 실장된 반지의 기억에 의해 어느정도 답이 나온 것으로 보여진다.)
카
카네자와 3문호(金沢三文豪/かなざわさんぶんごう)
이시카와현 카네자와시 출신인 이즈미 쿄카(泉鏡花), 토쿠다 슈세이(徳田秋声), 무로 사이세이(室生犀星) 세 명을 말함.
게임 운영측 소재지가 카네자와시여서인지 종종 묶어서 다뤄지는 경우가 있다. 지금까지 관측된 주요 이벤트(主なもの)는 이하와 같다.
・2018년 3월 3일 ~ 3월 31일 : 카네자와시에 있는 이 세 명의 문학관을 투어하는 콜라보 스탬프 랠리가 개최되었다. 이걸 기념하여 게임 내에선 세 사람이 그려진 일러스트의 장상이 배부되었다.
・2019년 12월 18일 : 이즈미 쿄카(泉鏡花)의 막간 회상에 3인의 회상이 실장되었다.
・2020년 9월 : 세 명을 테마로 한 온라인 다과회 개최가 발표되었다. 이에 따라 각 문호 모티브인 다구(茶器)가 판매되었다. 「카네자와 21세기 공예전(金沢21世紀工芸祭)」과 콜라보 이벤트로 다과회는 각각 10/31(사이세이)・11/7(이즈미)・11/15(토쿠다) 테마가 YouTube에서 방송되었다.
카메라(カメラ/かめら)
게임 내에선 주로 루이스 캐럴(ルイス・キャロル)의 취미로 등장한다. 실제로(사실/史実) 소녀를 중심으로 인물 사진을 즐겨 촬영했다는 점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일본 작가 중에선 스트레오 사진(아마도 입체사진을 말하는 듯)을 취미로 삼았던 하기와라 사쿠타로(萩原朔太郎)나 콘탁스(독일제 카메라)를 애용했던 카와바타 야스나리(川端康成)등이 유명하다.
나가이 가후(永井荷風)도 1936년(昭和11年/쇼와 11년)에 카메라를 구입한 이후 공습으로 자택이 불타기 전까지 사진을 촬영 ・현상하는 취미를 가졌었다.
사진으로 유명한 건 쿠메 마사오(久米正雄). (「현대 일본 문학 순례(現代日本文学巡礼)」등을 제작) 에도가와 란포(江戸川乱歩)도 가족이나 친한 작가를 촬영한 사진을 남겼다.
카지(梶/かじ)
카지이 모토지로(梶井基次郎)를 말함. 미요시 타츠지(三好達治)가 부르는 별명에서 유래.
타야마 가타이(田山花袋)의 성우인 카지 유우키(梶裕貴)를 지칭하기도 함.
칸칸 (カンカン/かんかん)/칸행님(カンニキ/かんにき)
키쿠치 칸(菊池寛)을 말한다.
도서관에서 주머니 사정이 좋기로 손꼽힌다. 하지만 그 돈의 출처는 수수께끼에 싸여있다.
케이피(K. P./けー・ぴー)
[가] 카테고리의 갓파악어(かっぱわに)를 참고.
키타이치(キタイチ/きたいち)
키타하라 일문(北原一門)을 가리킨다.
키타하라 하쿠슈(北原白秋), 하기와라 사쿠타로(萩原朔太郎), 무로 사이세이(室生犀星) 이 세 명을 말함.
타
타가와 선생님(たがわ先生/たがわせんせい)
아쿠타가와 류노스케(芥川龍之介)를 말함.
타바타조(田端組/たばたぐみ)
주로 다이쇼시대(大正時代)에 타바타를 거점으로 문예활동을 행한 사람들을 말함. 아쿠타가와 류노스케(芥川龍之介)를 중심으로 무로 사이세이(室生犀星)나 호리 타츠오(堀辰雄), 하기와라 사쿠타로(萩原朔太郎), 나카노 시게하루(中野重治)등이 포함된다.
탐미주의(耽美主義/たんびしゅぎ)
탐미주의작가, 그 중에서도 나가이 가후(永井荷風)와 타니자키 준이치로(谷崎潤一郎)를 가리킨다.
타니자키의 전생 대사에 나타나듯이 문알케에서는 주로 나가이와 타니자키를 나타내지만, 일반적으로는 이즈미 쿄카(泉鏡花)나 에도가와 란포(江戸川乱歩), 유메노 큐사쿠(夢野久作)등 이외에도 많은 작가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탓쨩코(たっちゃんこ)
호리 타츠오(堀辰雄)를 말함. 사실(史実)에 근거한 애칭에서 따옴.
온화한 성격으로 모두에게 사랑받지만 문애니 제 11화에서 「저를 『탓쨩코』라 불러도 되는 건 아쿠타가와 류노스케뿐이야」라는 초유의 발언을 하여 지금까지 친밀함을 담아 그를 「탓쨩코」라 불렀던 사서들을 절망시켰다.
퇴근과 알케미스트(退勤とアルケミスト/たいきんとあるけみすと)
특무사서가 현생에서 퇴근했다 또는 지금 딱 퇴근한다 고 선언하는 행위를 말한다. 「퇴근나우(退勤なう)」랑 같은 의미.
참고로 퇴근 못한 경우엔 「잔업과 알케미스트(残業とアルケミスト)」가 된다.
파
파샤 또는 찰칵(パシャ/ぱしゃ)
소장(召装)을 말함. 연금술로 만든 「사진기」를 사용해서 이루어지기에 생겨난 말.
소장 튜토리얼에서도 아카가 「파샤레!(パシャれ!/직역하면 찰칵하라고!)」라고 말하는 장면이 있다.
파생작품(派生作品/はせいさくひん)
게임 외부에서 전개되고 있는 파생작품(독자적인 스토리를 가진 것)을 말한다. 노벨라이즈(소설화...이긴 한데 라노벨로 분류되는지는 모르겠음), 애니메이션, 무대가 있다.
전부 게임 원작(?)과 캐릭터나 기본적인 설정은 공유하고 있지만 각각 독자적인 요소나 해석을 가지고 있다.
애니메이션과 무대는 각각 [마] 카테고리의 문애니(文アニ), 문극(文劇)을 참고 바람.
노벨라이즈는 신쵸문호(新潮文庫)nex에서 3권까지 나와있다. 종류는 하기와 같음.
・얼굴 없는 천재(顔のない天才)(아쿠타가와 류노스케)…저자:카와바타 준이치(河端ジュン一) , 2019년 8월 1일 발행 ISBN 978-4-10-180160-5
・부종의 괴담(不終の怪談)(코이즈미 야쿠모)…저자:야노 타카시(矢野隆), 2020년 2월 1일 발행 ISBN 978-4-10-180183-4
・네게 권하는 잔(君に勧む杯)(이부세 마스지)…저자:니키 히데유키(仁木英之), 2022년 2월 1일 발행 ISBN 978-4-10-180231-2
포(ぽ)/포포(ぽぽ)
에도가와 란포(江戸川乱歩)를 칭함.
포메(ぽめ)
이와노 호우메이(岩野泡鳴)를 말함.
프로조(プロ組/ぷろぐみ)
파벌 「프롤레타리아(プロレタリア)」에 속하는 나카노 시게하루(中野重治), 코바야시 타키지(小林多喜二), 토쿠나가 스나오(徳永直)의 총칭
일 잘 하고 잘 먹는 사람들.
하
하와(はわ)/하와와(はわわ)
H・P・러브크래프트를 말함.
최초 공개 때 페밀리 네임을 밝히지 않아 실장까지 단순히 「하워드」라고 불렸던 것에서 생겨난 말.
항아리를 던짐(壺を投げる/つぼをなげる)
산책(散策)에서 1번에 신뢰도를 제일 높게(+20) 올려주는 항아리를 문호에게 선물하는 것을 말한다. 1번 당 금화 700이 필요.
토탈 5항아리로 평상복(平服), 6항아리로 (실장 되어 있다면) 회상을 얻을 수 있다.
맨날 같은 걸 받는데 매번 기쁜 걸까요?
헬른(ヘルン/へるん)
코이즈미 야쿠모(小泉八雲)를 말함. 본명「러프 카디오 헬른(한)(ラフカディオ・ヘルン(ハーン))」에서 유래.
영어
숫자 및 기호
〇〇〇〇군은 있어요(〇〇〇〇君はいます/〇〇〇〇くんはいます)
「가상의 〇〇군(イマジナリー〇〇君)」의 발전형.
미실장 문호가 실재 여부에 있어 사서가 매우 강력한 환각을 보는 상태를 가리킨다.
'문호와 알케미스트 > 일위키 번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호와 알케미스트] 개화(신) (0) | 2023.06.22 |
---|---|
[문호와 알케미스트] 급료 (0) | 2022.08.01 |
[문호와 알케미스트] 용어집 (0) | 2022.07.28 |
[문호와 알케미스트] 편지 (0) | 2022.07.14 |
[문호와 알케미스트] 연구일람(신) (0) | 2022.07.12 |